▣ 코드를 수정하기 전에...지피지기
"공단코드 입력은 필수는 아닙니다
그러나 공단코드와 맞추려면, 공단코드와 내코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고 나서 수정"
공단이 2023년에 만든 면당 분류-마모/파절/우식1,2,3면 이상
앤드컴이 2008년에 만든 부위별 분류-치경부/공간폐쇄/전치부(간단,복잡),구치부
○ 수가적용일:2008.01.01-이후 날짜부터 수가 적용
○ 레진(전치)-간단 = 10만원, 레진(전치)-복잡 = 15만원, 구치(가,나,다)=7만,5만,4만원
16년 전부터 이런 식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공단코드 레진(1,2,3면)으로 반드시 맞춰줘야 하나요?
그대로 쓰면 공단코드에 맞추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123면당으로 바꾼다면 공단코드를 입력해야 합니다
작년에 먼저 시행했던 병원급은 입력해 놓은 자료를 가지고
프로그램이 대략 매핑하여 자료를 추출해서 보고자료를 만들었습니다
공단코드를 거의 입력하지 않았습니다(※공단코드 입력 설명 없음-공지사항 442번)
레진코어도 비급여 보고대상인가요? 공단 코드가 없는데 어떡하나요?
앤드컴은 레진코어와 레진충전이 어떻게 다른지 모릅니다
레진코어는 근관치료 후에,
레진충전은 공단코드에 기재된 "우식"치료 후 메꾸는 것으로 본다면
공단코드가 없는 레진코어는 보고를 안 하면 될 것입니다(※공단코드: 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우식)
어떤 코드로 연결시킬지도 모르는 비급여 항목을
무엇 때문에 그렇게 하나하나 빠짐없이 모두 맞추어 보고해야 할까요?
비급여 보고가 누락 청구하면 손해 보는 보험 청구인가요?
ABC부터 Z까지 모든 것을 앤드컴에 물어보시는데요,
앤드컴은 프로그램에서 입력하고 수정하는 방법은 정확히 알려드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X라는 비급여진료가 Y라는 공단코드에 정확히 대응하는지는 잘 모릅니다
프로그램 사용법은 그것을 만든 앤드컴에 문의하는 것이 당연하다면,
보고 대상 여부는 그 제도를 만든 공단에 문의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을까요?
"잘 입력했는지 원격으로 봐주세요, 전화 주세요" 이런 문의가 없기를 부탁 드립니다
.............................................................................
1) 폴더명 vs 버튼명
- 폴더는 지하철 사물함과 같습니다.
- 폴더는 처치 버튼을 "대/중/소"로 분류해서 담아 놓은 사물함입니다
- 내가 수정하는 것이 사물함 이름인지 그 속에 들어있는 처치 버튼인지 구분이 필요합니다

2) 공단코드 매칭(매핑) 전략
- 수정하기 전에 비급여 수가표에 레진 수가가 정리되어 있어야 합니다
- 수정 안 하는 것이 가장 좋고, 최소한으로 수정하는 것이 그 다음입니다
- 그냥 쓸 수 있는 것은 쓰고, 안 되는 것만 고친다
- 치경부, 공간폐쇄(Diastema)는 수가 외에는 바꿀 것이 없을 것 같구요
- 문제는 1,2,3면인데요...면당으로 분류해서 레진 수가를 책정하지 않았다면
- 비급여수가표에 적혀있는 대로 입력한 후 자료제출시 오류가 발생할 때 특이사항에 사유를 기재하면 됩니다
● 광중합형 복합레진 수정
ex) 레진 비급여를 공단 코드에 맞추어 5개로 수정한다면?
- 1,2,3면으로 매칭하는 하나의 예시일 뿐, 꼭1,2,3면 안해도 됩
- 앤드컴: 치경부, 공간폐쇄, 전치(단순,복잡), 구치
- 공 단: 마모, 파절, 우식(1,2,3면 이상)
"레진(치경부)와 레진(공간폐쇄)는 그냥 놔두고,
레진-전치(가,나,다)를 부위 구분 없이 레진(1,2,3면)으로 바꾼다"
① 레진(치경부), 레진(공간폐쇄) => 공단 코드와 1:1 대응 가능(부분 수정)
=> 명칭 놔두고 공단 표준코드만 추가 입력하여 사용
[앤드컴]레진(치경부) : [공단]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마모
[앤드컴]레진(공간폐쇄) : [공단]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파절 등
② 레진(전치-가,나,다) => 공단코드와 1:1대응 불가능(전체 수정)
=> 명칭도 1,2,3면으로 수정하고 공단코드 입력
- 폴더명: 레진충전
- 묶음코드명: 레진1면, 레진2면, 레진3면
- 수가코드명: 레진우식1면, 레진우식2면, 레진우식3면 이상

3) 묶음코드 수정 및 공단 매칭
○ 해당 처치코드에서 마우스우클릭 -> 묶음코드버튼설정 ->묶음코드수정
- 공단코드 검색 입력

※ 단가, 수가명칭 입력: 입력 줄 떠블 클릭

4) 폴더명(사물함 이름) 수정
- 사물함의 내용물이 부위별 분류에서 면당 분류로 수정되었음 => 사물함 이름도 수정

● 임플란트A,B사 사용, 보철진료비가 달라지는 경우
- 공단에 보고하는 임플란트 단가 = 식립+상부구조+보철수복
- 임플란트보철=임플란트+보철(식립80+보철40=임플란트보철120)
- 식립과 보철 비용을 합친 <임플란트보철> 보고(최종 결론 보고)
ex) A,B사 임플란트 사용 PFM, ZIR보철만 한다면?
- 앤드컴 <임플란트보철>은 재료에 따라 구분되어 있음
- 임플란트회사 A,B로 구분하여 아래와 같이 명칭수정 및 공단코드 입력
- 안 쓰는 코드를 수정해야 함
① 임플란트회사A => IMPA-PFM, IMPA-ZIR : [공단]치과임플란트(1치당)-PFG,Zirconia
② 임플란트회사B => IMPB-PFM, IMPB-ZIR : [공단]치과임플란트(1치당)-PFG,Zirconia
폴더명: IMP보철
묶음코드명: IMPA-PFM, IMPB-PFM
수가코드명: 임플란트A-PFM, 임플란트B-PFM
▶ 코드명을 모두 다 바꿨다. 공단코드를 입력하지 않으면?
- 사용자가 정의한 IMPA가 뭔지 모르기 때문에 정확한 매칭 불가

"공단코드 입력은 필수는 아닙니다
그러나 공단코드와 맞추려면, 공단코드와 내코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알고 나서 수정"
공단이 2023년에 만든 면당 분류-마모/파절/우식1,2,3면 이상
앤드컴이 2008년에 만든 부위별 분류-치경부/공간폐쇄/전치부(간단,복잡),구치부
○ 수가적용일:2008.01.01-이후 날짜부터 수가 적용
○ 레진(전치)-간단 = 10만원, 레진(전치)-복잡 = 15만원, 구치(가,나,다)=7만,5만,4만원
16년 전부터 이런 식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공단코드 레진(1,2,3면)으로 반드시 맞춰줘야 하나요?
그대로 쓰면 공단코드에 맞추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123면당으로 바꾼다면 공단코드를 입력해야 합니다
작년에 먼저 시행했던 병원급은 입력해 놓은 자료를 가지고
프로그램이 대략 매핑하여 자료를 추출해서 보고자료를 만들었습니다
공단코드를 거의 입력하지 않았습니다(※공단코드 입력 설명 없음-공지사항 442번)
레진코어도 비급여 보고대상인가요? 공단 코드가 없는데 어떡하나요?
앤드컴은 레진코어와 레진충전이 어떻게 다른지 모릅니다
레진코어는 근관치료 후에,
레진충전은 공단코드에 기재된 "우식"치료 후 메꾸는 것으로 본다면
공단코드가 없는 레진코어는 보고를 안 하면 될 것입니다(※공단코드: 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우식)
어떤 코드로 연결시킬지도 모르는 비급여 항목을
무엇 때문에 그렇게 하나하나 빠짐없이 모두 맞추어 보고해야 할까요?
비급여 보고가 누락 청구하면 손해 보는 보험 청구인가요?
ABC부터 Z까지 모든 것을 앤드컴에 물어보시는데요,
앤드컴은 프로그램에서 입력하고 수정하는 방법은 정확히 알려드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X라는 비급여진료가 Y라는 공단코드에 정확히 대응하는지는 잘 모릅니다
프로그램 사용법은 그것을 만든 앤드컴에 문의하는 것이 당연하다면,
보고 대상 여부는 그 제도를 만든 공단에 문의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을까요?
"잘 입력했는지 원격으로 봐주세요, 전화 주세요" 이런 문의가 없기를 부탁 드립니다
.............................................................................
1) 폴더명 vs 버튼명
- 폴더는 지하철 사물함과 같습니다.
- 폴더는 처치 버튼을 "대/중/소"로 분류해서 담아 놓은 사물함입니다
- 내가 수정하는 것이 사물함 이름인지 그 속에 들어있는 처치 버튼인지 구분이 필요합니다

2) 공단코드 매칭(매핑) 전략
- 수정하기 전에 비급여 수가표에 레진 수가가 정리되어 있어야 합니다
- 수정 안 하는 것이 가장 좋고, 최소한으로 수정하는 것이 그 다음입니다
- 그냥 쓸 수 있는 것은 쓰고, 안 되는 것만 고친다
- 치경부, 공간폐쇄(Diastema)는 수가 외에는 바꿀 것이 없을 것 같구요
- 문제는 1,2,3면인데요...면당으로 분류해서 레진 수가를 책정하지 않았다면
- 비급여수가표에 적혀있는 대로 입력한 후 자료제출시 오류가 발생할 때 특이사항에 사유를 기재하면 됩니다
● 광중합형 복합레진 수정
ex) 레진 비급여를 공단 코드에 맞추어 5개로 수정한다면?
- 1,2,3면으로 매칭하는 하나의 예시일 뿐, 꼭1,2,3면 안해도 됩
- 앤드컴: 치경부, 공간폐쇄, 전치(단순,복잡), 구치
- 공 단: 마모, 파절, 우식(1,2,3면 이상)
"레진(치경부)와 레진(공간폐쇄)는 그냥 놔두고,
레진-전치(가,나,다)를 부위 구분 없이 레진(1,2,3면)으로 바꾼다"
① 레진(치경부), 레진(공간폐쇄) => 공단 코드와 1:1 대응 가능(부분 수정)
=> 명칭 놔두고 공단 표준코드만 추가 입력하여 사용
[앤드컴]레진(치경부) : [공단]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마모
[앤드컴]레진(공간폐쇄) : [공단]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파절 등
② 레진(전치-가,나,다) => 공단코드와 1:1대응 불가능(전체 수정)
=> 명칭도 1,2,3면으로 수정하고 공단코드 입력
- 폴더명: 레진충전
- 묶음코드명: 레진1면, 레진2면, 레진3면
- 수가코드명: 레진우식1면, 레진우식2면, 레진우식3면 이상

3) 묶음코드 수정 및 공단 매칭
○ 해당 처치코드에서 마우스우클릭 -> 묶음코드버튼설정 ->묶음코드수정
- 공단코드 검색 입력

※ 단가, 수가명칭 입력: 입력 줄 떠블 클릭

4) 폴더명(사물함 이름) 수정
- 사물함의 내용물이 부위별 분류에서 면당 분류로 수정되었음 => 사물함 이름도 수정

● 임플란트A,B사 사용, 보철진료비가 달라지는 경우
- 공단에 보고하는 임플란트 단가 = 식립+상부구조+보철수복
- 임플란트보철=임플란트+보철(식립80+보철40=임플란트보철120)
- 식립과 보철 비용을 합친 <임플란트보철> 보고(최종 결론 보고)
ex) A,B사 임플란트 사용 PFM, ZIR보철만 한다면?
- 앤드컴 <임플란트보철>은 재료에 따라 구분되어 있음
- 임플란트회사 A,B로 구분하여 아래와 같이 명칭수정 및 공단코드 입력
- 안 쓰는 코드를 수정해야 함
① 임플란트회사A => IMPA-PFM, IMPA-ZIR : [공단]치과임플란트(1치당)-PFG,Zirconia
② 임플란트회사B => IMPB-PFM, IMPB-ZIR : [공단]치과임플란트(1치당)-PFG,Zirconia
폴더명: IMP보철
묶음코드명: IMPA-PFM, IMPB-PFM
수가코드명: 임플란트A-PFM, 임플란트B-PFM
▶ 코드명을 모두 다 바꿨다. 공단코드를 입력하지 않으면?
- 사용자가 정의한 IMPA가 뭔지 모르기 때문에 정확한 매칭 불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