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ъ궗議곗젙肄붾뱶 자료 : 24 개 | |
코드 | 내용 |
---|---|
A | 행위, 약제, 치료재료의 금액 산정착오 |
B | 요양급여비용 산정기준 적용착오 |
C | 요양급여기준 범위 초과 진료, 처방내역 미확인 조제 |
D | 계산착오 |
E | 비급여대상, 요양급여비용의 100분의100 본인부담항목 청구 |
F | 증빙자료 미제출 |
G | 중복청구 |
H | 소멸시효기간이 경과된 요양급여비용청구 |
I | 진찰료 착오(진찰료의 100분의100 본인부담하는 경우) |
J | 보건기관 청구관련 요양급여비용 산정기준 등 적용착오, 의료급여정신과 입원기간에 따른 차등수가 적용착오, 정신과 외래 보호자 내원 수가 적용착오 |
K | EDI, 디스켓 청구관련 코드 및 코드구분 착오 또는 누락 |
L | 관련자료 확인결과 요양급여비용 착오청구(본인부담액은 적정징수) |
M | 관련자료에서 확인되지 아니한 요양급여비용 착오청구 |
O | 허위청구 |
P | EDI, 디스켓 청구관련 2이상의 줄번호를 상호 연계조정 |
R | 대체, 변경.수정조제의 절차 위반 |
S | 요양급여기준 범위 초과 의약품 처방 |
T | 추가청구분중 정액제 해당 |
TU | 의약분업관련 약사의 허용범위(지역)외 직접조제 |
U | 의약분업관련 의사, 치과의사의 허용범위외 직접조제 |